본문 바로가기
취미

[Linux] 리눅스 스토리지 마운트 centos7

by climb_JJIYO 2024. 1. 21.
반응형

마운트 구조

리눅스 서버에서 스토리지를 마운트하는 것은 서버 관리 및 데이터 저장에 있어서 중요한 작업입니다. 스토리지를 마운트함으로써 서버는 외부 저장 장치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서버의 용량을 확장하거나 데이터를 백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스토리지를 올바르게 마운트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눅스 마운트(Mount) 진행절차

리눅스에서 마운트(Mount)는 파일 시스템을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저장장치(하드디스크, USB, 드라이브, 네트워크 드라이브 등)을 시스템에 연결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하드디스크 장치를 지정된 디렉토리 위치와 연결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즉, 스토리지의 용량을 특정 디렉토리 위치에 할당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확인사항 - 마운트 대상 디렉토리가 비어있는 디렉토리인지를 확인합니다.

 

1) 디렉토리 사용량 확인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df - Th    

빨간색 박스로 표신된 Use% 컬럼이 현재 파일시스템의 사용량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Mounted on 컬럼이 마운트된 디렉토리 위치

 

2) 파티션 목록 확인

 

파티션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fdisk -l   

마운트할 디스크에 파티션이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

 

3) 파티션 생성하기

 

파티션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 fdisk /dev/xvdb1   > fidisk (마운트할 디스크)

파티션 생성

 

Command에 차례로 n -> p -> w 를 입력해 준다.

 

1) Command : (새 파티션 추가)  n 입력 enter

2) Command : (파이션 타입 설정) p 입력 enter   > 4개 이상의 파티션을 설정할 땐 e를 입력

3) Command : (저장) w enter

 

 

4) 파티션 적용

 

새로 생성한 디스크의 파티션이 적용될 수 있도록 포맷하는 명령어입니다.

  $ mkfs.xfs -f /dev/xvdb1  

 

 

5) 마운트 풀기

 

마운트를 해제하는 명령어입니다.

 

  $ umount /home   > $ umount (디렉토리 경로)

 

마운트를 하려고 하는 디렉토리에 마운트가 걸려있다면 풀어줍니다.

 

 

6) 디렉토리가 빈 디렉토리가 아닌 경우 (디렉토리가 빈 경우는 이 과정을 생략)

 

tmp_home 디렉토리 생성합니다.

- $ mkdir /tmp_home  

 

home의 파일들을 tmp_home로 이동합니다.

- $ mv /home/* /tmp_home 

 

정상적으로 파일이 이동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 ls -lh /home 

- $ ls -lh /tmp_home 

 

 

7) 마운트 하기

 

마운트 하는 명령어입니다.

 

비어있는 home 디렉토리에 마운트 설정합니다.

$ mount /dev/xvdb1 /home   > $ mount (파일디스크) (디렉토리경로)

 

마운트가 걸렸는지 확인합니다.

$ df -Th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걸렸다면 Filesystem에 파일디스크명, mount on 에 디렉토리 경로

 

8) 파일 복구 (6번에서 tmp_home를 생성한 경우에만)

 

tmp_home으로 이동시켜 놓은 파일 home으로 다시 이동합니다.

- $ mv /tmp_home/* /home  

 

파일이 정상적으로 이동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ls -lh /home  

 

임시로 만들어 놓은 tmp_home 파일 삭제합니다.

-$ rm -rf /tmp_home  

 

 

9) 서버 재부팅 후에도 자동 마운트 유지 설정

 

서버를 재부팅하면 마운트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연결 해주기 위한 설정입니다.

 

파티션 UUID 및 파일시스템 타입 확인합니다.

- $ blkid  

 

파일에 추가 입력합니다. (UUID,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타입, option, dump, fsck option)

- $ vi /etc/fstab  

 

※ 주의사항 : 파일에 추가 입력할 때 저장용량이 100%으로 가득 찬 경우 write error로 파일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저장용량이 100%로 가득 차지 않도록 해아 합니다.

 

 

결론적으로, 위의 설명을 통해 리눅스 서버에서 스토리지를 마운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스토리지를 마운트하는 과정을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적절한 옵션 및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 관리 및 데이터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